십팔사 위키
Advertisement
전한 무제
[[그림:|200px]]
재 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
성 명 {{{성명}}}
별 명 {{{별명}}}
왕 비 {{{왕비}}}
황 후 폐황후 진씨
무사황후
왕 후 {{{왕후}}}
부 군 {{{부군}}}
왕 가 {{{왕가}}}
황 가 {{{황가}}}
부 왕 {{{부왕}}}
부 황 경제
부 친 {{{부친}}}
모 비 {{{모비}}}
모 후 효경황후
모 친 {{{모친}}}
앞선 왕 {{{이전 왕}}}
앞선 황제 경제
앞선 천황 {{{이전 천황}}}
다음 왕 {{{다음 왕}}}
다음 황제 소제
다음 천황 {{{다음 천황}}}
전한의 제7대 황제

한무제 유철(漢武帝 劉徹, 기원전 156년 ~ 기원전 87년)은 전한의 제7대 황제(재위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이다. 아명은 체(彘)이며 는 통(通)이다. 묘호세종(世宗), 시호효무황제(孝武皇帝)이다. 경제의 열번째 아들이며 효경왕후 왕지(孝景皇后 王娡)의 소생이다. 유학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를 다스렸으며 해외 원정을 펼쳐 흉노, 위만조선 등을 멸망시켜 당시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만들어 전한의 전성기를 열었다. 고조선의 세번째 왕조인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韓半道)에 한사군 또는 한군현을 설치하기도 했다. 중국 역사상 진 시황제·강희제 등과 더불어 중국의 가장 위대한 황제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생애[]

16세에 부황 경제의 뒤를 이어 황제에 올라 유학자 동중서의 의견을 수렴하여 유학을 국가의 학문으로 삼아 그 이념대로 나라를 다스리려 하였다.

한편 이복 형제와 귀족을 제거하여 왕권을 강화시켰다. 왕위 계승의 라이벌로 지목되던 중산정왕 유승을 계속 의심하였는데, 유승은 경제의 서자이자 무제의 이복형이었다. 유승은 이 의심을 피하고자 일부러 주색에 탐닉하는 모습을 보여 한무제의 칼날을 피해갔다.

그의 즉위 후 최대 사업으로 치세장건(張騫)이 서역과 통하는 실크로드 건설을 시작하였다. 이후 치세기간 중 실크로드 건설 개척사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고, 위청곽거병 등으로 하여금 흉노를 소탕케 하였다. 인재 채용에 조건과 자격을 가리지 않아 서역 출신 노예와 흉노 출신 노예 중에서도 인재를 등용하였다. 흉노를 소탕하면서 곽거병이 사로잡은 흉노족 왕자 출신 노예 김일제의 재능을 알아보고 적극 발탁하기도 했다.

정벌 사업[]

또한 기원전 112년부터는 한반도 남부에 위치한 진국(辰國)과의 직접교역을 반대하고 한나라에 조공바치기를 거부하는 고조선의 정벌을 단행한다. 육로와 해로로 군사를 파견하였으나 모두 패하였으나 고조선은 내부의 내분으로 한군에 투항자가 발생하면서 멸망하게 되었다. 기원전 108년 고조선을 멸망시킨 자리에 낙랑·임둔·진번·대방한사군(또는 한군현)을 설치하였다.

내정[]

또한 소금과 철과 황의 전매제를 시행하여 경제적 재력 확충을 시도하였으나 훗날 이 정책은 전한의 재정적 부족과 몰락을 재촉하였다. 토지분배 정책에서는 둔전제를 강력히 시행·추진하였고, 둔전제의 일부를 개정하여 정복한 북방지역에 주민의 이주를 적극 장려하면서 북방으로 이주한 백성에게 땅을 나누어 주는 제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대전법(代田法)이라 한다.

왕권 강화와 후계 인선[]

기원전 91년 무당 강충(江充)이 여태자가 역모를 꾸민다는 고변을 하자 무제는 여태자를 의심하였고다. 그러나 여태자가 강충을 살해하자 무제는 태자를 폐위시키고 체포를 명하였다. 체포에 불복한 여태자는 거병하여 관군과 대항하였으나 패하여 자결하였고, 여태자의 비인 사량제 역시 자결하였다. 뒤에 관군을 이끌던 손자 유진 내외 역시 자살하고 반군은 진압되었다.

무제는 위황후를 폐출하고 사형에 처하였다. 무제는 여태자의 장인과 장모, 처족, 위황후 일족에게 연좌율을 적용하여 사형에 처하였다. 여태자의 손자이자 무제의 증손은 여태자의 처조모의 친정으로 빼돌려졌다.

여태후의 친정 일가들의 폐단을 보았던 한무제는 여태자 일가를 역모로 처단한 뒤, 창읍애왕마저 기원전 88년 죽자, 구익부인 조씨 소생 전한 소제을 후계자로 결정한다.

총애하는 후궁이었던 구익부인이 14개월 또는 24개월 만에 아들을 낳자 요임금의 어머니가 14개월 만에 출산한 것을 예로 들어가며 총애를 더하였지만 아들 불릉을 황태자로 세운 뒤 어린 아들 뒤에 젊은 어미가 있으면 외척의 발호와 폐단이 있을 것이라고 하여 구익부인을 역모로 몰아 살해하였다. 그뒤 임종이 가까워 오자 곽광김일제를 불러 아들의 후견인이 되어 줄 것을 유언하고 사망하였다.

관련 서적[]

  • 사기》제12권 효무본기
  • 한서》제6권 한무제기

황후, 후궁, 자녀[]

  • 황후 진씨
  • 무사황후
    • 딸 3명
    • 아들 : 여태자 유거
    • 며느리 : 사양제
      • 손자 : 사황손 진, 전한 선제의 아버지
  • 부인 왕씨
    • 한 제회왕(漢 齊懷王) 유민(劉閎)
  • 궁인 이씨 이희(李姬)
    • 개장공주(盖長公主)
    • 연책왕(燕刺王) 유단(劉旦)
    • 광릉만왕(廣陵厲王) 유서(劉胥)
  • 부인 이씨,
    • 서자 : 창읍애왕
      • 손자 : 폐제
  • 부인 윤씨 윤첩여
  • 부인 형씨 형경아(邢娙娥)
  • 구익부인 조씨 조첩여
    • 전한 소제
전 임
아버지 전한 경제 유계
제7대 중국 전한 황제
기원전 141년 - 기원전 87년
후 임
6남 전한 소제 유불릉


de:Han Wudi en:Emperor Wu of Han eu:Han Wudi fr:Han Wudi id:Wu dari Han ja:武帝 (漢) pl:Wudi pt:Wu de Han ro:Împăratul Wu din dinastia Han ru:У-ди th:จักรพรรดิฮั่นอู่ตี้ vi:Hán Vũ Đế zh:汉武帝 zh-classical:漢世宗孝武皇帝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