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 위키
가입하기
Advertisement

기문둔갑[]

기문과 구성학이 상수를 활용한다는것은 공통점인것 같지만 상수를 도출해 내는 방법 부터 다른것 같다. 예를 들어 기문은 사주의 천간지지에 수를 대입시켜 그것을 활용해서 중궁에 수를 넣은 뒤에 구궁도를 작성하지만 포국 방법이 천간은 역포국을 하고 지지는 출감궁부터 해서 포국을 한뒤에 그다음 여러가지를 더 넣은뒤에 그결과를 가지고 해단(해석) 하는 것이 기문이고 구성은 정해진 숫자를 활용(구성 만세력)해서 낙서의 정위반 순서대로 포국한뒤에 그 숫자만 가지고 해석을 하는 것이 다른 점 같다.

기문둔갑 [奇門遁甲]은 음양의 변화에 따라 몸을 숨기고 길흉을 택하는 용병술(用兵術)이다. 병법 술수의 하나로, 하도(河圖:주역 팔괘의 근본이 되는 55개점의 점)·낙서(洛書:중국 우왕 때 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있었던 9개의 무늬)의 수(數) 배열원리 및 이를 이용한 《주역》 건착도(乾鑿度)의 구궁(九宮)의 법이 그 원형이다. 둔갑술(遁甲術)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하도낙서는 원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적용한 것으로 수의 배열은 음수와 양수로 되어 있고, 포진법(布陣法)은 동서남북 및 중앙으로 되어 있어서 음양의 화합과 오행의 상생을 이루도록 만들어져 있다. 후대에는 이런 간단한 원리에 많은 이론을 첨가하여 복잡한 은신술(隱身術)로 변형되었다.

기문둔갑의 시작은 《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에 따르면 헌원 황제(軒轅皇帝)가 치우 천왕(蚩尤天王)과의 전쟁에서 고전하고 있을 때 우연히 꿈에 천신(天神)에게서 부결(符訣)을 받았고, 이를 풍후(風后)가 명을 받아 문자로 완성한 것이라고 한다.

삼국시대에 와서는 제갈공명(諸葛孔明)이 더욱 발전시켜 병법에 이용하여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유명하다. 중국 당(唐)나라 태종 때 이정(李靖)이 기문둔갑을 병법과 정치에 활용하여 당나라를 세우는데 큰 역할을 하면서 이것은 정치적 목적에 따라 금서(禁書)로 정해졌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김유신조(金庾信條)에 따르면 김유신의 고손(高孫)인 암(巖)이 당나라에 유학가서 둔갑입성법(遁甲立成法)을 터득한 뒤 이를 응용한 육진법(六陣法)을 백성들에게 가르쳤다는 기록이 있다.


팔문이란 음양가(陰陽家)가 낙서(洛書)에 기초해 구궁(九宮)에 맞추어 길흉을 판단하는 여덟 개의 문(門), 곧 휴문(休門), 생문(生門), 상문(傷門), 두문(杜門), 경문(景門), 사문(死門), 경문(驚門), 개문(開門) 등을 이른다.

  1. 휴문(休門)
  2. 생문(生門)
  3. 상문(傷門)
  4. 두문(杜門)
  5. 경문(景門)
  6. 사문(死門)
  7. 경문(驚門)
  8. 개문(開門)

구궁(九宮)은 낙서(洛書)에서 발전한 방위(方位)의 자리, 낙서에 응한 일백(一白), 이흑(二黑), 삼벽(三碧), 사록(史錄), 오황(五黃), 육백(六白), 칠적(七赤), 팔백(八白), 구자(九紫)의 구성(九星)에 중궁(中宮)과 8괘를 8문에 배합하여 그 운행하는 9방위의 자리를 이르는 말이다.

구성은

  1. 일백(一白),
  2. 이흑(二黑),
  3. 삼벽(三碧),
  4. 사록(史錄),
  5. 오황(五黃),
  6. 육백(六白),
  7. 칠적(七赤),
  8. 팔백(八白),
  9. 구자(九紫)

팔괘 진법[]

제갈량이 위의 조조 군과 싸울 때 썻던 팔괘 진법(八卦陣法)은 전군을 8개 단위 병력으로 나눈것에서 시작한다.

이 진법은 진(進)과 퇴(退), 즉 나아감과 물러섬이 상응하여서 그 변화가 무궁하니 전면을 치면 후미가 돕고 중간을 끊으면 앞뒤가 협공하니 작은 병력으로도 많은 적을 상대할 수 있는 기묘한 진법이다.

팔문금쇄진(八門禁鎖陣)은 조조가 손자병법서를 연구해 만든 진법이다. 대표적으로 삼국시대에 200년 이후 위나라의 기초가 된 진법이나, 서서가 이를 간파한 뒤로 거의 사용되지 않은 진법이다.

휴(休), 생(生), 상(傷), 두(杜), 경(景), 사(死), 경(驚), 개(開)의 8개의 진문(陣門)이 있으며, 팔문을 구성하는 병사들을 일정 원리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진문안에 미로를 만들어서 적군의 전투능력을 상실케 한다는 진법이다. 삼국지에서는 서서가 생(生)문과 경(景)문을 간파하여 조인의 군대를 물리쳤다고 한다.

팔괘팔진도(八掛八陣途)는 제갈량이 처음 창안했다는 진법으로 팔괘 진법, 팔진도, 팔진법등 수많은 이름으로 전해지고 있다. 연의에서만 존재하는 진법으로 위에서 설명한 팔문금쇄진과 성격이 비슷하다.

휴(休), 생(生), 상(傷), 두(杜), 경(景), 사(死), 경(驚), 개(開)의 8개의 진문(陣門)이 존재하며, 생(生), 경(景), 개(開)로 가면 좋고, 상(傷), 경(驚), 휴(休)로 가면 다치며, 두(杜), 사(死)로 들어가면 죽는다고 한다.

육손의 군사는 사(死)문으로 들어가 황승언은 이들을 생(生)문으로 인도한 것이다. 팔문금쇄진과 비슷한점이 많으나 다른점이 있다면 팔진도에는 팔괘가 있다는 것이다.

즉, 진(우뢰) 손(바람) 이(불) 곤(땅) 태(연못) 건(하늘) 감(물) 간(산)의 팔괘가 존재한다.

각 문이 이 기운을 바탕으로 서로 번갈아가면서 변화를 부려서 10만 대군이라 해도 잘못 들어서면 영영 빠져나오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나 팔괘팔진도의 경우 돌무더기들이 어떤 원리에서 배치된 것인지, 그리고 그곳에서 어떤 이상한 자연현상이 일어났는지, 실제로 전투에 사용됐는지는 불분명하다.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