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사 위키
Advertisement

가슬갑사(嘉瑟岬寺) 또는 가실사(加悉寺), 가서사(加西寺, 嘉栖寺), 고시사(古尸 寺), 갑사(岬寺), 작갑사(鵲岬寺) 등으로도 불렀다.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산(雲門山) 운문사 (雲門寺)에서 동쪽으로 9천보쯤 떨어진 가서현(加西峴) 북쪽 골짜기에 있었다.

원광 법사는 수나라에 조빙사로갔던 내마 제문과 대사 횡천을 따라 귀국하여 운문산(雲門山:청도)가실사(加悉寺:가슬갑사)를 중창하고 그곳에 머문다. 원광(圖料이 중국의 수(隋)나라에서 유학하고 66o년에 귀국하여 청도(淸道)에있는 가실사(加悉寺)에 있을 때에 사량부에 있는 귀산과 추항이 찾아가서 펑생을 두고 계명(戒命)으로 세속오계를 받았다.

후삼국의 싸움으로 이 절을 비롯한 일대의 절들이 모두 파괴되었고, 그 기둥만이 남아 이를 대작갑사에 모아 두게 되었다. 고려 초 보양(寶壤)이 허물어진 이 절을크게 중창하여 작갑사라고 했다. 그 뒤 고려 태조가 후삼국을 통일하고 밭 5백결을 이 절에 바쳤고, 937년(태조 20) 운문선사(雲門禪寺)라는 사액을 내렸다. 그 뒤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으며, 언제 폐사되었는지도 알 수 없다. 현재 절터만 남아 있다.

가토사(駕土寺)는 황해도 수안군 수구면 덕암리에 있다. 누가 창건했는지는 알 수없으나, 고려시대에 창건했다. 그 뒤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다가, 1931년 수구면 내 유지들의 지원으로 중수되었다.

이 절의 관음당은 자연의 바위굴을 이용한 법당으로서 내부에는 관음보살상이 봉안되어 있다.

절의 아래 절벽석혈(石穴)에서는 약수가 흘러내리는데, 절 이름과 관련된 설화가 전한다. 옛날에는 이 석혈에서 샘물이 아닌 쌀이 매일 흘러 나와 이 절에 머무르는 스님들이 먹을 수 있을 만큼의 양이 되었다. 그러나 어느 때 욕심 많은 주지가 쌀이 나오는 구멍에 손을 넣었는데, 그 속에서 까투리 한 마리가 나와서 날아갔다. 그러자 그 뒤부터 쌀 대신 샘물이 흘러 나왔으며, 또한 까투리(가토)가 날라갔다 하여 절 이름도 가토사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

Advertisement